신부자입니다.
오늘은 자산가격 우상향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Bad is Good
Good is Good
현대 자본주의 모습입니다.
시장이 좋을때 좋기 때문에 시장이 활성화 됩니다.
하지만 시장이 좋지 않을때는 어떤가요?
과거와 다르게
정부의 크기가 커진 현대 사회에서는 경제 악화 또는 그와 비슷한 사건이 발생하면
양적완화로 유동성을 키워서 더이상 악화 되지 않게 노력합니다.
그래서 요즘같은 시기에는
경기가 좋아도 주식이 상승하고
경기가 아주 안좋아도 주식이 상승합니다.
바로 코로나가 대표적입니다.
초기 공포감에 주식이 폭락하였지만
각 정부들의 어마어마한 돈풀기로 주식은 다시 올라갑니다.
그런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는 것입니다.
저금리 시대, 심지어 제로금리 시대를 살고있어서
예적금은 메리트를 잃어가고
대출은 쉬워지고 시중에 유동성은 풍부합니다.
그 많은 돈들이 어디로 갈지를 잘 지켜 봐야합니다.
미국은 구조상 주식으로 그 유동성이 집중되어 화폐량으로 주식가격을 밀어 올려버리는데
우리나라는 조금 다릅니다.
물론 지금은 주위에 주식을 안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주식에 뛰어들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특성상 부동산 자산에 집중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안전 자산에 대한 믿음을 있을뿐만아니라
부동산으로 돈번 사례도 많기도 하고
주식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한몫하고있습니다.
그래서 현정권의 강력한 부동산정책으로 주식으로 돈이 몰리고 있지만
그마저도 목돈이 되면 다시 부동산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고
정택의 효과가 떨어지고 부동산 상승 흐름이 지속되면
그 많은 유동성이 주식과 부동산의 동반 상승을 가져올 가능성까지 있습니다.
주식시장에는 외국인들이 돌아오고있으며
부동산은 전세값 폭등으로 지방부동산이 불장으로 뜨거워지고
21년, 22년 서울 아파트 공급은 바닥을 찍고
부동산 가격은 하늘을 뚫을거라 기대합니다.
우리는 이런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우리 주머니에는 돈이 없지만
시장에는 돈이 넘쳐 납니다.
이 어렵다는 코로나 시대에 말입니다.
미국은 코로나 이전에 찍어낸 달러보다
코로나 이후 발행한 달러화폐의 양이 더 많다는 기사도 보았습니다.
유동성이 가져올 자산가격의 상승, 인플레이션
솔직히 무섭습니다.
저는 자산가격의 우상향에 배팅을 하고 지금도 자산을 끌어 모으고있습니다.
모두 부자 되세요
부자 되는길) 부동산 갈아타기 고가주택 보유자도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 (0) | 2020.11.17 |
---|---|
부자 되는길) 인생은 기브앤 테이크, 인맥의 MAX = 내 실력의 최대치 (0) | 2020.11.16 |
부자 되는길) 돈도 없이 분당 대형 부동산 갈아타기 (0) | 2020.11.14 |
부자 되는길) 하고자 하면 방법을 찾고 하기 싫으면 핑계를 찾는다. (0) | 2020.11.13 |
부자 되는길) 부자의 시작_나는 가난 합니다. (0) | 2020.11.11 |